영국 세금 신고와 소득세율 총정리 – 2025 최신 가이드
영국은 세계 금융 중심지이자 다양한 문화와 교육 환경을 갖춘 나라로 많은 이민자들이 선호합니다. 하지만 영국 세금 제도는 단순히 소득세에 그치지 않고 국세와 지방세, 그리고 국민보험(National Insurance)까지 포함돼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외국인과 이민자의 경우 거주자 판정, 해외 소득 과세 여부, 조세조약 적용 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국 세금 구조, 신고 절차, 세율, 공제 제도, 외국인 특례까지 총정리하여 이민자들에게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


🏛 영국 세금 제도의 큰 그림
영국 세금은 **HMRC(Her Majesty’s Revenue and Customs)**에서 관리합니다. 영국은 지방세 구조가 단순하며, 개인소득세는 중앙정부가 직접 부과합니다.
과세연도는 독특하게 4월 6일부터 다음 해 4월 5일까지 운영됩니다. 소득세는 거주자 판정에 따라 전세계 소득에 과세되며, 비거주자는 영국 원천소득에만 과세됩니다. 이 때문에 이민자들은 체류 일수, 가족·경제적 연고 등을 기준으로 한 **법적 거주자 테스트(Statutory Residence Test)**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 세금 신고 절차
영국 세금 신고는 Self Assessment Tax Return이라는 제도를 통해 이뤄집니다. 급여소득자 중 단순한 경우는 고용주가 PAYE(Pay As You Earn) 제도로 원천징수를 통해 정산하지만, 자영업자나 추가 소득이 있는 경우 직접 신고해야 합니다.
- 신고 기간: 과세연도 종료 후 다음 해 1월 31일까지 (전자 신고 기준)
- 신고 방법: HMRC 온라인 시스템(Self Assessment)
- 신고 대상: 자영업자, 프리랜서, 투자소득자, 부동산 임대소득자, 해외소득 신고자
- 지연 시 불이익: 최소 100파운드 벌금 + 지연 기간에 따른 추가 가산세
📊 영국 소득세율과 과세표준
2025년 기준 영국 세금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GBP) | 세율 | 구간 설명 |
---|---|---|
~12,570 | 0% | Personal Allowance (개인 기본 공제) |
12,571 ~ 50,270 | 20% | 기본세율 (Basic Rate) |
50,271 ~ 125,140 | 40% | 고율세율 (Higher Rate) |
125,141 이상 | 45% | 추가세율 (Additional Rate) |
또한, 일정 소득 이상일 경우 Personal Allowance가 점진적으로 사라집니다. 즉 연소득이 125,140파운드를 넘으면 기본 공제를 전혀 받을 수 없습니다.
💼 소득 유형별 과세
영국 세금은 소득의 성격에 따라 다르게 부과됩니다.
- 근로소득: PAYE 제도로 원천징수
- 자영업·프리랜서: Self Assessment로 직접 신고
- 투자소득: 이자소득은 1,000파운드까지 면세, 배당소득도 일정 금액까지 면세 후 누진세율 적용
- 자본이득세(CGT): 기본세율 납세자는 10%, 고율세율 납세자는 20% (부동산은 각각 18%, 28%)
- 임대소득: 필요경비 공제 가능, 일정 조건 충족 시 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특별 규정 적용
🎯 공제와 세금 감면 제도
영국 세금 공제 제도는 실효세율을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Personal Allowance: 모든 거주자에게 주어지는 기본 면세 한도
- Marriage Allowance: 부부 간 공제액 이월 가능
- 자녀수당(Child Benefit): 소득 기준에 따라 지급, 고소득자는 환수
- 연금 불입(Workplace Pension, Private Pension): 세전 소득에서 공제
- 기부금(Gift Aid): 공인 단체 기부 시 세액공제
- 외국납부세액공제: 조세조약을 활용한 이중과세 방지


🏥 국민보험(National Insurance)
영국 세금 체계에서 국민보험은 소득세와 별도로 납부하는 사회보험료입니다. 근로자(Class 1)는 급여의 일정 비율을 부담하며, 자영업자는 Class 2 및 Class 4 형태로 신고 시 납부합니다. 국민보험은 연금, 실업급여, 의료 혜택 재원으로 쓰이며, 납부 기록은 향후 연금 수급액에 직접 반영됩니다.
🌍 외국인·이민자 특례
외국인이 영국에서 거주자로 판정되면 전세계 소득에 과세되지만, Non-domiciled(비거주지 원칙) 제도를 활용하면 해외 소득을 영국으로 송금하지 않는 한 과세를 유예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액 자산가의 경우 일정 연차 이후에는 연간 수천 파운드의 세금을 내야 이 제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비거주자는 영국 원천소득에 대해서만 과세되며, 배당·이자·임대소득은 원천징수로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연봉별 시뮬레이션
구분 | 연봉 40,000 GBP | 연봉 80,000 GBP | 연봉 150,000 GBP |
---|---|---|---|
소득세 | 약 5,486 | 약 19,432 | 약 51,432 |
국민보험 | 약 3,180 | 약 5,880 | 약 7,176 |
총 세부담 | 약 8,666 | 약 25,312 | 약 58,608 |
실수령액 | 약 31,334 | 약 54,688 | 약 91,392 |
※ 세부 계산은 단순화를 위해 기본공제와 국민보험률을 기준으로 추정한 값이며, 실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영국 세금 Q&A
영국에서 해외 은행 계좌도 세금 신고 대상인가요?
세법상 거주자는 전세계 소득 신고 의무가 있어 일정 금액 이상의 해외 계좌를 보유하면 HMRC에 보고해야 합니다. 미신고 시 과태료와 세무조사가 따를 수 있습니다.
영국 세금 신고 시 배우자 소득을 합산해야 하나요?
영국은 개인별 과세가 원칙이라 합산 신고는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Marriage Allowance를 통해 일부 공제를 배우자에게 이월할 수 있습니다.
비거주자가 영국 부동산을 팔면 세금은 어떻게 되나요?
비거주자도 영국 부동산 양도차익에 대해 자본이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산세가 부과되므로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영국에서 세무사를 이용하면 비용은 얼마나 드나요?
단순한 신고는 200~500 파운드 선에서 가능하며, 복잡한 자산·해외 소득 신고가 포함되면 수천 파운드까지 비용이 올라갈 수 있습니다.
영국 세금 환급은 보통 얼마나 걸리나요?
전자 신고 시 몇 주 내 환급되는 경우가 많으며, 서류 제출이나 오류가 있는 경우 몇 달이 걸리기도 합니다. HMRC 온라인 계정에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주권자와 시민권자의 세금 차이는 있나요?
세법상 영주권자와 시민권자의 세금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차이는 투표권이나 복지 수급 자격에서 발생하며 세금 자체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 한국과 비교, 이민자의 이점
영국 세금은 기본세율과 고율세율 구간이 뚜렷해 중산층에게는 상대적으로 부담이 적고, 부자에게는 높은 세율을 부과하는 구조입니다. 한국과 비교했을 때 최고세율은 비슷하지만, Non-dom 제도나 연금 불입 세제 혜택 등은 이민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교육·의료 혜택이 세금으로 충실히 뒷받침되므로, 세부담이 높더라도 체감 복지는 높은 편입니다.
📣세계 여러 나라의 세금과 이민자가 알아야 할 내용 (시리즈)
일본|호주|미국|캐나다|영국|독일|싱가포르|뉴질랜드|프랑스|두바이|더 많은 나라의 세금 정보 보기
Immigrate Insight는 해외 이민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전문 정보 플랫폼입니다. 각국의 비자, 영주권, 생활비, 정착 가이드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함께 제공합니다. 처음 이민을 고민하는 분부터 실제 정착을 준비하는 분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글로벌한 삶을 향한 여정, Immigrate Insight와 함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