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세금 신고와 소득세율 총정리 – 2025 최신 가이드
홍콩은 낮은 세율과 단순한 세제 구조 덕분에 아시아 최고의 비즈니스 허브로 평가받습니다.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다른 국가와 달리, 홍콩은 홍콩 세금 제도를 간소화해 기업과 외국인 근로자 모두에게 매력적인 환경을 제공합니다. 특히 부가가치세(VAT)와 자본이득세가 없다는 점은 큰 장점으로 꼽힙니다. 이번 글에서는 홍콩 세금 구조, 신고 절차, 소득세율, 공제 제도, 외국인 특례까지 심층적으로 정리합니다.


🏛 홍콩 세금 제도의 큰 그림
홍콩 세금은 세무국(Inland Revenue Department, IRD)이 관리하며, 과세연도는 매년 4월 1일부터 다음 해 3월 31일까지입니다.
주요 세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개인소득세 (Salaries Tax)
- 법인세 (Profits Tax)
- 부동산세 (Property Tax)
- 인지세 (Stamp Duty)
※ 홍콩에는 부가가치세, 상속세, 자본이득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세금 신고 절차
홍콩 세금 신고는 자진 신고(Self-Assessment) 원칙을 따릅니다.
- 개인 신고 기한: 매년 6월 말 (연장 가능)
- 법인세 신고 기한: 회계연도 종료 후 1개월 이내 (연장 신청 가능)
- 납부 방법: eTAX 온라인 시스템, 은행, 우편
- 미신고 시 불이익: 세액의 3배까지 벌금, 지연이자
📊 홍콩 소득세율과 과세표준
2025년 기준 홍콩 세금의 개인소득세율은 두 가지 방식 중 낮은 금액을 선택합니다.
- 누진세율 적용 (Net Income 기준)
과세표준 (HKD) | 세율 |
---|---|
~50,000 | 2% |
50,001 ~ 100,000 | 6% |
100,001 ~ 150,000 | 10% |
150,001 ~ 200,000 | 14% |
200,001 이상 | 17% |
- 단일세율 (Standard Rate): 과세소득 전체에 대해 15%
💼 소득 유형별 과세
홍콩 세금은 소득의 성격에 따라 달라집니다.
- 근로소득: 급여·보너스 등은 급여세(Salaries Tax) 과세
- 사업소득: Profits Tax로 과세 (법인세율과 동일)
- 투자소득: 배당·이자 소득은 원칙적으로 비과세
- 부동산 임대소득: Property Tax(세율 15%) 부과
🎯 공제와 세금 감면 제도
홍콩 세금에는 다양한 공제 제도가 있습니다.
- 기본 인적공제: HKD 132,000
- 배우자 공제: HKD 132,000
- 자녀 공제: 자녀 1명당 HKD 120,000
- 부모 부양 공제: 62,500~125,000 HKD
- 교육비·의료비 일부 공제
- 퇴직연금(MPF) 기여금 공제 (최대 HKD 18,000)


🏥 사회보험과 기여금
홍콩은 일반적인 사회보험 제도가 없으며, MPF(Mandatory Provident Fund) 제도를 통해 은퇴 자금을 적립합니다.
- 근로자 부담: 급여의 5% (상한 월 1,500 HKD)
- 고용주 부담: 동일 비율 납부
외국인 근로자는 일부 예외가 있지만, 장기 근로 계약 시 가입 의무가 있습니다.
🌍 외국인·이민자 특례
- 60일 이하 단기 체류 외국인 근로자는 급여세 면제
- 60일 초과 체류 시, 거주자와 동일하게 과세
- 한국과 홍콩은 조세조약을 체결해 이중과세를 방지합니다
💴 연봉별 시뮬레이션
구분 | 연봉 300,000 HKD | 연봉 600,000 HKD | 연봉 1,200,000 HKD |
---|---|---|---|
소득세 (누진세율) | 약 16,000 | 약 42,000 | 약 108,000 |
표준세율(15%) | 45,000 | 90,000 | 180,000 |
사회보장 (MPF) | 18,000 | 18,000 | 18,000 |
총 세부담 | 34,000 | 60,000 | 126,000 |
실수령액 | 약 266,000 | 약 540,000 | 약 1,074,000 |
※ 누진세율과 표준세율 중 낮은 세액을 선택 가능.
홍콩 세금 Q&A
홍콩 세금 신고는 영어로 가능하나요?
네. 홍콩 세무국(IRD)은 영어와 중국어 모두 지원하므로 외국인도 세금 신고에 어려움이 적습니다.
홍콩에는 부가가치세가 없나요?
네. 홍콩은 VAT가 없기 때문에 소비세 부담이 적습니다. 이는 아시아에서 가장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비거주자도 홍콩 세금을 내야 하나요?
비거주자라도 홍콩 내 발생 소득이 있다면 과세 대상이 됩니다. 단, 60일 이하 체류자는 급여세가 면제됩니다.
홍콩에서 배당 소득에도 세금이 있나요?
홍콩은 배당·이자 소득에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큰 매력으로 작용합니다.
MPF는 외국인도 반드시 가입해야 하나요?
장기 근로 계약을 체결한 외국인은 MPF에 가입해야 합니다. 단, 단기 계약자나 특정 비자 소지자는 예외가 있습니다.
영주권자와 시민권자의 세금 차이는 있나요?
세법상 영주권자와 시민권자의 세금 체계는 동일합니다. 차이는 복지와 거주 권리에서 나타나며, 세금 구조 자체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 한국과 비교, 이민자의 이점
홍콩 세금은 단순성과 낮은 세율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한국의 소득세 최고세율이 45%인 반면, 홍콩은 17%에 불과합니다. 게다가 자본이득세와 부가가치세가 없어 투자자와 고소득자에게 유리합니다. 단, 복지 제도가 한국보다 제한적이므로 민간 보험 가입이 필요합니다.
📣세계 여러 나라의 세금과 이민자가 알아야 할 내용 (시리즈)
일본|호주|미국|캐나다|영국|독일|싱가포르|뉴질랜드|프랑스|두바이|더 많은 나라의 세금 정보 보기
Immigrate Insight는 해외 이민을 준비하는 분들을 위한 전문 정보 플랫폼입니다. 각국의 비자, 영주권, 생활비, 정착 가이드를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와 함께 제공합니다. 처음 이민을 고민하는 분부터 실제 정착을 준비하는 분까지 모두에게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
글로벌한 삶을 향한 여정, Immigrate Insight와 함께하세요.
🔎이미그레이트 인사이트의 다른 글 보기
👉홍콩 이민 절차 총정리 – 비자·영주권·시민권·정착 비용까지 한눈에 (2025 최신판)
👉이민 후 세금 부담이 가장 낮은 나라 TOP 10 – 실속 있는 정착 가이드